열린공간
반려동물과 함께 알레르기 관리하기
알레르기란?
알레르기란 ‘보통은 해가 없는 물질에 대해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사람은 집먼지진드기와 같이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물질에 문제가 없지만, 특정한 사람들은 이를 몸에 침입한 유해한 물질로 여겨 면역 반응을 일으킵니다.
알레르겐이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알레르겐’이라고 합니다.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바퀴벌레, 실내 곰팡이 등이 흔한 알레르겐입니다. 이런 물질들은 대개 숨을 쉴 때 코로 들어오므로 콧물, 재채기, 코막힘과 같은 비염 증상이나 호흡곤란, 쌕쌕거림, 기침과 같은 기관지천식 증상을 일으킵니다. 음식물도 중요한 알레르겐인데, 음식물로 인한 대표적인 알레르기 증상은 음식을 먹은 후 몇 분 또는 몇 시간 안에 나타나는 두드러기, 아나필락시스(급성중증과민증)* 등입니다.
*아나필락시스(급성중증과민증): 두드러기, 호흡곤란, 저혈압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나는 알레르기 반응으로 심하면 생명이 위험함
반려동물이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이라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동물에 대한 알레르기 질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약 15~30%에서 알레르기가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반려동물인 개와 고양이 중 특히 고양이 알레르겐은 알레르기 증상을 개보다 2배 이상 일으킵니다. 또한 직접 고양이를 키우지 않아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이가 고양이를 키우는 친구 집에 놀러 갔다 옷에 묻혀 온 고양이 알레르겐에 의해 알레르기 질환이 나빠질 수 있으며, 이전에 고양이를 키웠던 집으로 이사를 가는 경우 몇 달 동안 알레르기 증상이 심해져 고생할 수 있습니다.
나도 반려동물 알레르기가 있을까?
반려동물 근처에 가거나 만지고 나서 눈 가려움증, 콧물, 재채기, 코막힘, 기침,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심해진다면 알레르기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피부반응 검사를 통해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이 검사는 우리 주변에 흔히 있는 알레르겐에 대해 면역반응을 보이는 체질인가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알레르기피부반응 검사를 하기 위해 반려동물 알레르겐을 피부에 떨어뜨리고 바늘로 ‘따끔’하게 찌른 후 15분 정도 기다립니다. 만약 양성이라면 모기에 물린 것처럼 부풀어오르고 주변이 붉게 변합니다. 혈액 검사로 반려동물 알레르겐과 반응하는 면역글로불린 E(IgE)* 항체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면역글로불린 E(IgE): 혈액 속에 있는 면역단백질로 알레르겐(알레르기 원인 물질)과 결합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킴
반려동물 털을 깎는 것이 알레르기 해결 방법?
반려동물인 개와 고양이에서 유래하는 알레르겐은 털 자체가 아니라 피부에서 떨어지는 비듬, 대변, 소변과 침에 들어 있는 단백질 성분입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털을 깎는다고 알레르겐이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물론 털에 알레르겐이 많이 묻어 있으므로 알레르겐의 양을 줄일 수는 있지만, 궁극적인 해결 방법이 되지는 않습니다.
반려동물 알레르기, 어떻게 환경을 관리할까?
반려동물 알레르기, 어떻게 치료할까?
반려동물은 ‘반려’라는 호칭이 붙을 정도로 가깝고 아끼는 존재인 만큼 보호자는 알레르기가 있더라도 반려동물과 절대로 헤어질 수 없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환경을 관리하고 항히스타민제 등으로 알레르기 증상을 적극적으로 치료하면서 반려동물과 함께 지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치료제는 먹는 스테로이드가 아니면 오랫동안 사용해도 전신적인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입으로 흡입하는 스테로이드나 코 안에 분무하는 스테로이드 형태의 경우 전신이 아닌 몸의 일부에만 작용하므로 장기적으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알레르기는 완치될 수 있나요?
면역치료를 통해 반려동물에 대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체질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즉 “원인 알레르겐을 피할 수 없다면 싸워 이기자”라는 접근입니다. 면역치료는 크게 초기 치료와 유지 치료의 두 단계로 구분됩니다. 초기 치료는 처음에 낮은 농도의 알레르겐을 소량씩 투여하고 점차 양을 늘려 나가 부작용이 없으면서 증상이 나아지는 최대 알레르겐 농도까지 투여하는 단계입니다. 유지 치료는 일정량을 주기적으로 투여하여 이를 유지하는 단계입니다. 보통 3~5년 동안 치료하며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므로 처음에는 알레르기 치료제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 번호제목작성일자조회수
- 39해외여행 시 HIV/AIDS와 매독 감염 유의하세요!2025년 04월 05일11
- 38해외여행 시, 지켜야 할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2025년 04월 05일11
- 37반려동물과 함께 알레르기 관리하기2025년 04월 05일10
- 36봄철 불청객, 꽃가루 알레르기 예방관리수칙2025년 04월 05일12
- 35봄의 불청객, 꽃가루 알레르기의 예방과 관리2025년 04월 03일22
- 34여러분이 사는 곳 가까이에서!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2025년 04월 03일18
- 33염색체 이상 희귀질환 다운증후군2025년 04월 02일19
- 322025년 질병관리청 세계예방접종 주간 기념행사 모집 및 주간행사 안내2025년 04월 02일19
- 31다낭성 난소 증후군, 증상부터 관리법까지 알려드립니다!2025년 04월 02일21
- 30'25년 2분기 중점검역관리지역 안내(4.1. 기준)2025년 04월 01일24
- 29우리아이 무엇을 먹어야할까? 초가공식품 NO!2025년 04월 01일22
- 28근육이 줄어들지 않게 근력운동(저항성운동) 실천해요2025년 03월 31일22